반응형 PC33 Outlook-gmail 연동 시 자동 설정 안되는 문제 금번에 갑자기 PC에 문제가 발생하여 수시간 업데이트 삭제도 해보고 씨름하다 결국 윈도우를 다시 클린설치 했습니다. 뭐, 윈도우 재설치야 저는 일년에 두어번은 꾸준히 하게되는 듯 하여 설치 및 세팅이 그리 번거롭거나 오래걸리지는 않는 듯 합니다. 다만, 이번에 진짜 처음보는 요상한 문제에 가로막혀 해결을 못하고 빡치다가 드디어 해결했기에 문제와 해결방법 메모해 놓고자 합니다. 동일한 증상 겪는 분들께 도움되기를 바랍니다. 문제 outlook에서 계정 추가로 gmail 계정 (id@gmail.com) 입력 시 자동으로 설정 안잡아주고 고급 설정으로 연결됨. 원래 구글 로그인하는 창이 연결되었던 듯 한데... 아웃룩이 업데이트 됐나? 아니면 업데이트가 안되어서 옛날 방식인가?하면서 구글을 선택해줬더니 수동으.. 2021. 2. 16. 윈도우10 VPN_local trafic만 VPN 이용하기 저는 여러 곳에 멀리 떨어져 있는 서버들끼리 local network 구성하기 위해 VPN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보안/포트 선택의 자유 등의 이유로 OpenVPN을 사용하고 싶었으나, openVPN은 접속한 client간 통신되도록 하는 것이 생각보다 어렵더군요. (혹시 설정 가능한 방법 아시는 분은 연락 부탁드립니다.) 차선으로 제가 선택한 방법은 PPTP입니다. (원격지 중 한곳이 outbound도 방화벽으로 막는데 L2TP는 막히고 PPTP는 막지 않길래 PPTP를 선택했습니다.) PPTP 서버는 원래는 IPTIME 공유기를 사용하다가 최근에는 synology NAS로 변경하였습닌다. 이유는 2가지인데, 1. 보안상 이유입니다. PPTP가 안그래도 보안에 취약한데, IPTIME에는 VPN로그인 실패.. 2021. 2. 10. [NAS] eSATA에 연결한 SSD를 cache로 사용 Synology NAS의 일부 제품들은 eSATA로 추가 하드디스크 연결 시 제품 베이 내부의 디스크들과 하나의 디스크그룹으로 사용할 수 없는 경우가 있습니다. (아마 외부장치 연결이 끊겼을 경우를 대비하여 그런듯 합니다.) 제가 사용한 방법을 이용해 이러한 기기에서도 eSATA를 이용해 기존 볼륨을 확장하거나 SSD를 추가로 연결하여 캐쉬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저는 볼륨확장은 연결 불안도 있고 밑에서도 기술하지만 하드디스크를 외부에 놓고 싶지않아 4베이를 모두 하드디스크로 채우고 외부에 eSATA로 SSD를 연결하여 캐쉬로 설정했습니다. 제가 사용하고 있는 NAS는 synology 412+ 모델입니다. 최근 나오는 420 같은 제품들은 M.2 slot이 하드 베이와 별도로 마련되어있어 하드 베이를 차.. 2021. 1. 11. lmstat, command not found 해결 대표적으로 빡치는 에러 중 하나... 파일이 분명히 있는데, command not found..... 다행히도 매우 쉬운 해결 방법이다. Linux Standard Base를 깔면 된다. Redhat 계열 sudo yum install redhat-lsb Ubuntu 계열 sudo apt-get install lsb-core 이 방식으로 해결안되는 경우 LD_LIBRARY_PATH 환경변수 중 하나가 잘못된 라이브러리를 제공해서 그런 경우가 있는 듯 하니 위 환경변수를 초기화하거나 언셋해보세요 2020. 11. 25. 이전 1 2 3 4 5 6 7 8 9 다음 반응형